원문
스승께서 물으셨다.
"수부티여, 어떻게 생각하는가? 여래가 가장 옳고 완벽한 깨달음으로 온전히 알고 있는, 그 어떤 법이 있다고 생각하는가? 또는 여래가 설한 법이 실제로 있다고 생각하는가?"
수부티가 대답했다.
"아닙니다. 스스의 말씀을 제가 이해한 바로는 그런 법은 없습니다. 왜냐하면 여래께서 깨우치시고 가르치셨다고 하는 법은 붙잡을 수도 없고 말로 표현될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법도 아니며, 법 아닌 것도 아닙니다. 왜냐하면 절대적인 세계가 성스러운 분들을 찬양하기 때문입니다."
원문 이해
자칫하면 붓다가 파 놓은 함정에 빠지기가 쉬웠다. 이것은 까다로운 질문이었다. 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그렇습니다."하고 말하기 쉽게 만드는 그런 질문이었다.
"그렇습니다. 스승님은 깨달음을 얻으셨습니다. 붓다이신 스승님이 아니라면 세상의 어느 누가 깨달음을 얻었겠습니까?"
그러나 얻는다는 생각 자체가 영적이지 않다. 붓다는 얻을 것도 없으며 얻는 자도 없다고 말한다.
수부티는 이렇게 말하기가 쉬웠을 것이다.
"그렇습니다. 스승님, 당신은 아무도 가르치지 않은 것을 가르쳐주셨습니다. 당신은 아무도 설한 적이 없는 진리를 설하셨습니다."
그러나 얻을 것이 아무 것도 없다면 설할 것이 어디에 있겠는가? 얻을 것도 없고, 얻는 자도 없다면 누가 그것을 설할 것인가? 그리고 설할 것이 무엇이겠는가" 수부티는 붓다의 질문에 속지 않았다. 그러므로 먼저 수부티는 이렇게 말한다.
"아닙니다. 당신은 아무 것도 얻지 않으셨습니다. 만일 제가 당신을 옳게 이해했다면, 거기에 얻을 것이 아무 것도 없기 때문입니다. '이러저러한 것' 이라든가 '아무 것도 아닌 것' 이라는 두 경계를 초월한 것에 대해 어떻게 설명할 수 있겠습니까? 그것은 긍정도 부정도 아니기 때문에 그것을 이해할 방법도 말할 방법도 없습니다."
언어는 오직 긍정적인 것과 부정적인 것을 이해한다. 긍정과 부정을 넘어선 것은 이해할 수 없다.
그리고 나서 수부티는 마지막으로 이렇게 말한다.
절대적인 세계는 저 너머의 세계, 초월의 세계를 의미한다. 사랑과 미움, 삶과 죽음, 낮과 밤, 남자와 여자, 천당과 지옥, 이 모든 이원성(二元性)을 넘어선 세계가 절대적인 세계다. 그리고 절대적인 세계는 성스러운 사람들을 찬양한다. 절대적인 것, 초월적인 것이 그들을 찬양한다.
붓다는 텅빈 거울이다. 그는 다만 존재를 있는 그대로 비춘다. 거울은 말할 게 아무 것도 없다. 거울은 앞에 비치고 있는 물건에 대해 아무 행위도 하지 않는다. 그저 있는 그대로 비출 뿐이다. 붓다 안에 존재계가 비친다. 절대의 세계가 그를 찬양한다. 그 세계가 붓다 안에 반영된다. 그리고 붓다는 아무 것도 하지 않는다.
'금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침묵_9 흐름을 이긴 자 (0) | 2019.06.08 |
---|---|
침묵_8 깨달은 사람들의 특별한 진리는 특별한 진리가 아니다 (0) | 2019.06.08 |
침묵_6 법마저 버려라 (0) | 2019.06.08 |
침묵_5 언제나 진리를 이해하는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0) | 2019.06.07 |
침묵_4 여래는 아무 특징이 없다 (0) | 2019.06.07 |